-
힐링코드책이야기 2020. 7. 20. 12:46
평점 : 3점 예전에 아버지께서 사달라고 하신 책이다. 그 당시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게도 선물했었다.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져서 사무실에 돌아다니는 것을 보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요가, 기체조, 단전호흡, 명상 등의 방식과 기능적으로 유사한 접근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도 종교에서의 맹목적 믿음과 유사한 접근을 시도하는데, "힐링코드를 믿고 열심히 실행하면 100% 건강해진다."고 한다. 즉, 건강에 효과가 없었으면 믿지 않고 잘 실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접근에 거부감이 있고 글도 사짜 같은 느낌이 나지만, 앞서 얘기한 것처럼 요가, 기체조 등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니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나쁠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힐링코드는 아래와 같다. 위 그림은 이 블로그에서 가져온 것이다. [힐링코..
-
다윗과 골리앗책이야기 2020. 6. 16. 15:39
평점 : 3.5점 jhkim에 책장에서 보게 된 책이다. jhkim은 좋아하는 작가고 재미있게 본 것 같다고 했는데, 나는 그렇게 재미있지는 않았다. 주된 내용은 사회 문제 등에서 통계적 측면에서 볼 때 보통 좋은 지점은 중간 영역에 있고, 적거나 과한 것은 문제인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것을 뒤집힌 U자형 통계 곡선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소규모 학생수가 학업 성적에 좋을 것 같지만, 학생수가 어느 지점 이상으로 줄어들면 오히려 학업 성적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즉 약점, 문제라고 하는게 절대적으로 약점, 문제로 작용하지 않는다. 책에서는 난독증 환자와 불우한 가정에서 자란 난폭해 보이는 의사를 예로 들어, 그들이 오히려 뛰어난 사회적 성공을 이루거나 해결하기 어려운 소아암을 치료하는데 기여한 내..
-
무경계책이야기 2020. 6. 16. 14:59
평점 : 4.0점 박대표님이 추천해줘서 읽게 되었다. 동서양의 다양한 철학, 심리학, 종교 등의 공통적인 부분, 원리 등을 정리한 책이다. 인간의 갈등은 경계를 세우고 이때 안과 밖의 대척점에 있는 지점에서 발생한다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내가 보는 것과 보여지는 것과의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켄윌버는 그 경계는 연속적이고 따라서 구분되어 지어질 수 없는 무경계라고 한다. 이 무경계 영역에 경계를 그음으로서 갈등과 번민이 발생한다고 한다. 나를 트라우마가 없는 순수한 나로 보고 트라우마를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볼것인가. 나를 트라우마를 포함한 정신적인 내면으로 보고 신체를 포함한 그 외 영역을 밖으로 볼것인가. 나를 내 신체로 보고 그 외 영역을 밖으로 볼것인가. 모든 것을 나로 볼 것인가. 이러한 각각의..
-
파우스트책이야기 2020. 3. 7. 10:00
평점 : 3.5점 여러 번역판이 있겠지만 전영애 교수님 번역판을 읽었다. 옮긴이에 따르면 파우스트는 운문으로 시와 유사해서 운율, 각운 등이 중요한데 번역할때 이러한 부분을 대단히 고심해서 옮겼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 문장으로 아래 두가지를 여러번 언급했다. - 인간은 지향이 있는 한 방황한다. (Es irrt der Mensch, solang'er strebt.) - 어두운 충동에 사로잡힌 선한 인간은 바른 길을 잘 의식하고 있다. (Ein guter Mensch in seinem dunklen Drange ist sich des rechten Weges wohl bewuBt.) 고전이라서 그 당시 이러한 책을 쓴다는 것은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다. 하지만 기대가 너무 커서인지 그렇게 재미있게 읽지는 못..
-
세 종교 이야기책이야기 2020. 3. 7. 09:52
평점 : 4.5점 대단히 재미 있게 읽은 책이다.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 이 세 종교 간의 이야기를 다룬다. 세 종교의 역사는 세계 역사에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비단 종교의 얘기만은 아니다. 세 종교는 아브라함의 역사, 그리고 유일신 하나님을 믿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세 종교의 차이는 구약성서를 바라보는 관점과, 예수님을 선지자로 보느냐 하나님의 아들 독생자로 보느냐의 차이가 있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아브라함이 기원전 수십세기전 수메르 지방의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아브라함, 모세, 다윗 모두 역사속에 실존했을 것이다. IS 등 이슬람 과격주의자들이 많은 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이 무엇을 주장하는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은 왜 그렇게 서로 공격하는지 궁금했었는데, 그것을 이..